

왜 공지가 않나와~
오늘 수욜날인데
목요일 공지가 않나오네
ㅋㅋ 드랍 콱 잠갔지
보스 잡아도 않나올걸 잘했어
오늘 수욜날인데
목요일 공지가 않나오네
ㅋㅋ 드랍 콱 잠갔지
보스 잡아도 않나올걸 잘했어
tle="0" style="margin:0px;padding:5px 1em 5px 5px;font-family:NanumBarunGothic, 'Apple SD GOthic Neo', 'san-serif';font-size:8pt;width:60px;border-width:0px;text-align:right;color:rgb(158,158,158);background-color:transparent;vertical-align:top;">입력 내용 | |
대치어 | |
직접 수정 | |
도움말 | 철자 검사를 해 보니 이 어절은 분석할 수 없으므로 틀린 말로 판단하였습니다. 후보 어절은 이 철자검사/교정기에서 띄어쓰기, 붙여 쓰기, 음절대치와 같은 교정방법에 따라 수정한 결과입니다. 후보 어절 중 선택하시거나 오류 어절을 수정하여 주십시오. * 단, 사전에 없는 단어이거나 사용자가 올바르다고 판단한 어절에 대해서는 통과하세요!! |
의견 | 보내기 |
tle="0" style="margin:0px;padding:5px 1em 5px 5px;font-family:NanumBarunGothic, 'Apple SD GOthic Neo', 'san-serif';font-size:8pt;width:60px;border-width:0px;text-align:right;color:rgb(158,158,158);background-color:transparent;vertical-align:top;">입력 내용 | |
대치어 | |
직접 수정 | |
도움말 | 의존 명사는 앞의 어미와 띄어 써야 합니다. 또한 문장 성분이 다른 단어나 명사가 덧붙을 때는 각각의 단어를 띄어 씀이 바릅니다.[맞춤법 표준안 42조] (예) 먹은거고 (x) -> 먹은 거고(o) 먹은거냐 (x) -> 먹은 거냐(o) 할바있다 (x) -> 할 바 있다 (o) 한셈치다 (x) -> 한 셈 치다 (o) 온듯도(x) -> 온 듯도(o) 할바를(x) -> 할 바를(o) 할수가(x) -> 할 수가(o) 할테다(x) -> 할 테다(o) |
의견 | 보내기 |
tle="0" style="margin:0px;padding:5px 1em 5px 5px;font-family:NanumBarunGothic, 'Apple SD GOthic Neo', 'san-serif';font-size:8pt;width:60px;border-width:0px;text-align:right;color:rgb(158,158,158);background-color:transparent;vertical-align:top;">입력 내용 | |
대치어 | |
직접 수정 | |
도움말 | 연결어미 '-아/-어/-여' 뒤에 나오는 보조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지만, 붙여 씀도 허용합니다. 단, 보조용언 '-어지다.'는 항상 본용언에 붙여 씁니다. 그러나 '-아/-어/-여' 이외의 어미 뒤에 보조용언이 나오거나 본용언이 올 때는 띄어 써야 합니다. |
의견 | 보내기 |
tle="0" style="margin:0px;padding:5px 1em 5px 5px;font-family:NanumBarunGothic, 'Apple SD GOthic Neo', 'san-serif';font-size:8pt;width:60px;border-width:0px;text-align:right;color:rgb(158,158,158);background-color:transparent;vertical-align:top;">입력 내용 | |
대치어 | |
직접 수정 | |
도움말 | 현재 어절의 어미는 사투리입니다. 불필요하게 받침이나 음절을 더한다든지 변형한다든지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은 바르지 않으니 제시된 표준어 어미로 써야 합니다. |
의견 | 보내기 |
tle="0" style="margin:0px;padding:5px 1em 5px 5px;font-family:NanumBarunGothic, 'Apple SD GOthic Neo', 'san-serif';font-size:8pt;width:60px;border-width:0px;text-align:right;color:rgb(158,158,158);background-color:transparent;vertical-align:top;">입력 내용 | |
대치어 | |
직접 수정 | |
도움말 | 띄어쓰기 오류입니다. 대치어를 참고하여 띄어 쓰도록 합니다. |
의견 | 보내기 |
tle="0" style="margin:0px;padding:5px 1em 5px 5px;font-family:NanumBarunGothic, 'Apple SD GOthic Neo', 'san-serif';font-size:8pt;width:60px;border-width:0px;text-align:right;color:rgb(158,158,158);background-color:transparent;vertical-align:top;">입력 내용 | |
대치어 | |
직접 수정 | |
도움말 | '보다'를 부사로 쓰는 습관은 일본어 영향 때문입니다. |
의견 | 보내기 |
tle="0" style="margin:0px;padding:5px 1em 5px 5px;font-family:NanumBarunGothic, 'Apple SD GOthic Neo', 'san-serif';font-size:8pt;width:60px;border-width:0px;text-align:right;color:rgb(158,158,158);background-color:transparent;vertical-align:top;">입력 내용 | |
대치어 | |
직접 수정 | |
도움말 | 의존 명사는 앞의 어미와 띄어 써야 합니다. 또한 문장 성분이 다른 단어나 명사가 덧붙을 때는 각각의 단어를 띄어 씀이 바릅니다.[맞춤법 표준안 42조] (예) 먹은거고 (x) -> 먹은 거고(o) 먹은거냐 (x) -> 먹은 거냐(o) 할바있다 (x) -> 할 바 있다 (o) 한셈치다 (x) -> 한 셈 치다 (o) 온듯도(x) -> 온 듯도(o) 할바를(x) -> 할 바를(o) 할수가(x) -> 할 수가(o) 할테다(x) -> 할 테다(o) |
의견 | 보내기 |
tle="0" style="margin:0px;padding:5px 1em 5px 5px;font-family:NanumBarunGothic, 'Apple SD GOthic Neo', 'san-serif';font-size:8pt;width:60px;border-width:0px;text-align:right;color:rgb(158,158,158);background-color:transparent;vertical-align:top;">입력 내용 | |
대치어 | |
직접 수정 | |
도움말 | 이 예는 어미이므로 앞말에 붙여 씀이 바릅니다. |
의견 | 보내기 |
tle="0" style="margin:0px;padding:5px 1em 5px 5px;font-family:NanumBarunGothic, 'Apple SD GOthic Neo', 'san-serif';font-size:8pt;width:60px;border-width:0px;text-align:right;color:rgb(158,158,158);background-color:transparent;vertical-align:top;">입력 내용 | |
대치어 | |
직접 수정 | |
도움말 | 띄어쓰기 오류입니다. 대치어를 참고하여 띄어 쓰도록 합니다. |
의견 | 보내기 |
tle="0" style="margin:0px;padding:5px 1em 5px 5px;font-family:NanumBarunGothic, 'Apple SD GOthic Neo', 'san-serif';font-size:8pt;width:60px;border-width:0px;text-align:right;color:rgb(158,158,158);background-color:transparent;vertical-align:top;">입력 내용 | |
대치어 | |
직접 수정 | |
도움말 | 띄어쓰기 오류입니다. 대치어를 참고하여 띄어 쓰도록 합니다. |
의견 | 보내기 |
-
'않'이 아니라 '안'입니다. ^^!~
-
맟춤법가지고 테클거는 이런 인간은 뭐 해먹고 사는 인간일까
선생일까????? 아님 관종일까?????
넌 XXXXXXX
글 쓰려면 매 ~번 https://speller.cs.pusan.ac.kr/ 여기가서 체크와야 하는겨 씨발 좆같구만
아가야 라떼는말이지 않으로 배웠거든 그래서말이다 아가야 않이 안 보다 더 익숙하단다
아그야 이 나이 먹어서 어디 회사 다닐것도 아니고 않이라 써서 못 알아먹는 사람 있으면
내가 걍 거를게
신경꺼 ~ -
대충살자고 넌 이렇게 살고 프냐 니인생도 참 고달프겠다